수협에도 김건희 그림자?⸱⸱⸱도이치모터스에 수상한 거액 대출 의혹

백도현 기자 / 2025-08-05 21:10:40
수협과 도이치모터스 간 수상한 거액 대출 사실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특히 도이치모터스는 김건희씨가 깊숙이 관련된 곳으로 알려진 터라 이 거래 배경에 의구심이 나온다. (일러스트=예결신문)

수협과 도이치모터스 간 수상한 거액 대출 사실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특히 도이치모터스는 김건희씨가 깊숙이 관련된 곳으로 알려진 터라 이 거래 배경에 의구심이 나온다.

5일 JTBC와 뉴스타파 보도에 따르면 2023년 3월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이 취임한 지 불과 나흘 만에 수협은행은 도이치모터스에 100억원 규모의 대출을 집행했다. 이 거래를 시작으로 지난해 10월까지 수협은행과 전국 단위수협은 도이치모터스 및 관계사에 총 648억원을 빌려줬다.

대출 시점과 조건, 수협의 과거 거래 단절 이력까지 감안하면 '극히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금융권 안팎에서 쏟아진다. 여기에 김건희 여사 연루 의혹이 불거진 도이치모터스라는 점이 더해지며 정치적 뒷배 의혹까지 확산하고 있다.

■ 취임 4일 만에 100억 대출⸱⸱⸱단절됐던 거래 재개
보도에 따르면 2023년 3월 24일 수협은행 뚝섬역지점은 도이치모터스에 100억원 규모의 부동산 담보대출을 실행했다.

이는 2020년 이후 완전히 끊겼던 도이치모터스와의 대출 거래가 3년 만에 재개된 순간이었다. 이후 행보는 더 과감했다. 같은해 5월 수협은행은 도이치모터스 자회사인 도이치파이낸셜에 30억원을 대출했고 10월에는 예금을 담보로 100억원, 또 다른 관계사 도이치아우토에는 58억원을 빌려줬다.

2023~2024년 수협이 도이치모터스와 관계사에 제공한 대출은 총 648억원. 이 중 수협은행 몫이 348억원, 전국 단위수협 몫이 300억원이었다.

특히 2024년 4월 30일 하루 동안만 9개 단위수협과 수협은행이 도이치오토월드에 360억원을 풀었다. 더 주목받는 건 금리다. 같은 시기 대부분의 은행이 6%대 이자율을 적용했지만, 수협은행은 4.20~5.96%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사실상 ‘특혜성 저리 대출’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 대출 시기는 권오수 유죄 직후…은행, ‘오너 리스크’ 무시?
이 모든 대출은 권오수 도이치모터스 회장이 주가조작 혐의로 징역 2년,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은 지 한 달 남짓 지난 시점부터 시작됐다.

금융권에서는 “오너 리스크로 신규 대출을 꺼리는 것이 관례”라며 “전례가 없다”는 반응이다. 특히 JTBC가 입수한 당시 대출 의견서에는 ‘영업 안정성 양호, 재무 안정성 무난’이라는 평가만 있고 권 회장의 사법 리스크는 언급조차 없었다.

노 회장은 취임 전후로 선거법 위반 및 성접대 의혹으로 해경 수사를 받고 있었다. 2023년 8월 무혐의 처분을 받았지만, 성매매 알선 업주는 1·2심 모두 유죄가 확정됐다.

일각에서는 노 회장이 사법 리스크 해소를 위해 도이치모터스를 매개로 윤석열 정권과 접점을 만들려 했다는 의심을 제기한다. 김건희씨가 연루된 주가조작 사건의 핵심 기업이자 정치적 파장이 큰 도이치모터스에 거액이 투입된 점이 이런 관측에 힘을 싣는다.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은 방송에서 "수협이 막대한 신규 대출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이 수협 회장에 대한 성매매 선거법 위반 수사를 무마하기 위해서는 아닌지 수협 회장, 경찰, 그리고 김건희 씨 등 도이치모터스 관련자들에 대한 특검의 수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해경청장 재취업 시도·측근 인사 발탁
무혐의 결론을 내린 당시 해양경찰청장이 퇴임 직후 수협 자문위원으로 재취업을 시도했던 사실도 드러났다. 비록 본인은 이를 거절했지만, 수협이 매년 해경 고위 간부를 자문직에 앉혀 온 사실이 확인됐다.

또 무혐의를 받은 조합장 3명은 조합장 선거 낙선 후 수협 비상임이사 등 고액 연봉 자리를 꿰찼다. 이들 모두 “성행위는 없었다”는 진술로 노 회장과 함께 무혐의를 받았다.

수협 측은 “대출은 각 기관이 개별 심사해 적정하다고 판단한 결과”라며 “해양경찰 퇴직자 위촉은 노 회장 이전에도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금융권과 정치권에서는 “수협이 도이치모터스의 주요 자금줄로 부활한 과정과 시점, 금리 조건 등을 보면 단순한 금융 판단으로 보기 어렵다”는 의문이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 예결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백도현 기자

기업, 지자체 소식과 예산 결산 등 재무상태 분석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