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3년간 글로벌 DRAM 시장 1위를 다져왔던 삼성전자가 올 1분기 SK하이닉스에 왕좌를 내줬다.
14일 홍콩 매체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올 1분기 글로벌 DRAM 점유율은 SK하이닉스가 36%로 1위를 차지했고 삼성전자는 34%를 기록, 2위로 내려앉았다. 마이크론은 25%다. 삼성전자가 각종 시장조사업체 집계에서 DRAM 1위를 차지하지 못한 건 1992년 이후 처음이다.
매체는 “SK하이닉스는 새로운 AI와 서버 기술의 핵심이 되는 HBM(고대역폭 메모리) 부문의 성공에 힘입어 삼성전자를 앞질렀다”며 놀라움을 표했다.
특히 SK하이닉스는 HBM 부문에서 70% 점유율로 독보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엔비디아에 HBM3E 모듈 주문의 대부분을 공급하고 있다. 반면 삼성전자는 HBM 생산에 어려움을 겪으며 엔비디아향 공급망에 진입하지 못했다.
삼성전자는 1위 탈환을 위해 HBM4 칩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SK하이닉스가 올 2분기에도 선두 자리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전반적인 DRAM 기술력이 SK하이닉스에 뒤처지는 데다 차세대 디램에 필요한 11~12나노미터(㎚)급 공정에서도 삼성이 밀린다는 이유에서다.
[ⓒ 예결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