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전자, 중국에 추월당했다···반도체 기술·TV 출하량 뒤집혀

신세린 기자 / 2025-02-24 19:18:20

중국의 첨단 기술 성장 속도가 가파르다. 그동안 한국의 자존심이었던 반도체 기술과 대표 가전인 TV 출하량이 중국에 추월당했다.

24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수준 심층분석' 브리프에 따르면 국내 전문가 39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지난해 한국의 반도체 분야 기술 기초역량은 모든 분야에서 중국에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 기술 선도국을 100%로 봤을 때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 분야는 한국이 90.9%로 중국의 94.1%보다 낮은 2위였고 고성능·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도 한국 84.1%로 중국 88.3%보다 낮았다.

전력반도체도 한국 67.5%, 중국이 79.8%였고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도 한국 81.3%, 중국 83.9%였다.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은 한국과 중국이 74.2%로 같았다.

한국이 앞서는 부문은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과 반도체·첨단 패키징 기술뿐이었다.

반도체 분야 전체를 대상으로 한 기술 생애주기 평가에서도 한국은 공정과 양산에서는 중국을 앞섰지만, 기초·원천 및 설계 분야에서는 중국에 뒤졌다.

설문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지난 2022년 진행된 기술수준평가에 참여한 이들로, 객관적 평가를 담보로 한다. 이들은 2년 전 평가에서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기술, 반도체 첨단 패키징기술,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 등에서 한국이 중국보다 앞선다고 평가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반도체 기술 수준에 영향을 미칠 미래 이슈로 핵심인력 유출,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술, 미·중 견제, 자국 중심 정책, 공급망 현지화 등을 꼽았다.

전망이 어둡다는 점도 우려스럽다. 이들은 “한국 반도체 시장이 일본과 중국의 부상, 미국의 제재, 동남아시아의 급성장 등으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며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국내 연구개발 투자 규모가 작은 점에서 전망이 밝지 않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첨단 반도체 제조 기술력 확보, 시스템반도체 분야 생태계 확대, 핵심인재 양성 및 기존 인재 유출 방지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中 TV 출하량 한국에 역전···매출 격차도 급감
중국 TV 브랜드가 출하량 기준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처음으로 한국을 앞지른 것으로 조사됐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TCL, 하이센스, 샤오미 등 중국산 TV의 글로벌 점유율은 31.3%로 집계됐다. 이는 삼성전자와 LG전자를 합산한 28.4%를 넘어선 수치다. 중국 브랜드 점유율은 2020년 24.4%에서 지난해 30%를 돌파하며 무섭게 성장 중이다. 반면 같은 기간 한국 기업의 점유율은 2020년 33.4%에서 지난해 28.4%로 하락했다.

중국의 물량 공세에 따라 자연히 매출도 급상승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19년 연속 글로벌 TV 시장 매출 1위, LG전자는 OLED TV 시장 매출 1위를 기록했지만, 중국 기업과 격차가 축소됐다. 

삼성전자의 글로벌 매출 비중은 2020년 31.9%에서 올해 28.3%로 하락했고 LG전자는 같은 기간 16.5%에서 16.1%로 줄었다. 

반면 TCL은 7.4%에서 12.4%로, 하이센스는 지난해 10.5%를 기록하며 10%대로 올라섰다. 이에 한-중 간 매출 점유율 격차는 2020년 48.4%대 13.5%에서 지난해 44.4%대 22.9%로 좁혀졌다.

특히 중국은 75인치 이상 초대형 TV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28.7%, LG전자가 15.1%로 여전히 시장 1, 2위를 차지했지만, 최근 5년간 점유율이 하락했다. 반면 TCL과 하이센스는 2020년 각각 5.1%, 4.2%였던 점유율을 지난해 15.0%, 14.6%까지 끌어올렸다.

다만 2500달러 이상의 고가 프리미엄 시장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여전히 압도적인 경쟁력을 보였다. 삼성전자는 해당 시장에서 49.6%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고, LG전자도 30.2%로 뒤를 이었다. 반면 TCL과 하이센스의 점유율은 각각 1.6%, 0.9%에 그쳤다.

업계 한 전문가는 “앞으로 중국과의 가격 경쟁이 더욱 심화할 것”이라며 “국가 차원의 보조금 지급, 대중 관세 부과 등 시장을 지킬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예결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신세린 기자

기업, 지자체 소식과 예산 결산 등 재무상태 분석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