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근당 계열사 경보제약의 전·현직 임직원 4명이 회삿돈 67억여원을 빼돌린 혐의로 최근 재판에 넘겨졌다.
8일 SBS 보도에 따르면 최근 검찰은 이 돈이 병원 측 리베이트에 활용된 것으로 파악했다. 특히 빼돌린 돌을 현금화하기 위해 직원들과 그 가족까지 동원, 이른바 ‘돈세탁’을 한 정황도 포착했다.
앞서 검찰은 2023년 말 경보제약 본사 등을 압수수색 했다. 자사 의약품 처방을 늘리기 위해 거액의 리베이트를 병원 등에 제공했다는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서다.
수사 결과 이들은 2019년 8월부터 1년간 리베이트 용도로 조성한 회삿돈 67억5200만원 전부를 100만원권 자기앞수표로 인출했다.
검찰은 이 수표들을 현금화하는 과정에서 경보제약 직원들과 그 가족이 동원된 사실을 포착했다.
검찰은 경보제약이 지난 2019년과 2020년 거액의 자금을 리베이트 용도로 지출했다는 내용의 내부 보고서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검찰은 사건에 연루된 경보제약 전·현직 임직원 4명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 혐의로 재판에 넘겼다.
경보제약은 지난해 3월에도 자사 약을 쓰는 대가로 의사와 약사에게 장기간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임직원 3명이 1심에서 유죄를 선고받기도 했다.
이번 리베이트 의혹과 관련해 경보제약은 지난해 12월 27일 공시를 통해 ‘횡령 혐의에 대한 공소 제기’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번 검찰 조사가 사실이라면 회사 측은 리베이트 사실 대신 ‘직원의 횡령’ 사실에만 초점을 맞춘 이른바 ‘꼬리 자르기’를 시도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다. 직원들이 회사의 지시나 묵인 없이 일방적인 리베이트 제공 행위를 할 수 없다는 것과 나아가 리베이트 불법 자금 조성을 위해 재무제표 조작 등 조직적 범죄행위도 수반돼야 한다는 점에서다.
경보제약은 코스피 상자사이긴 하나, 종근당홀딩스(지분 43.41%)와 이장한 종근당 회장 일가(17.09%)가 지분의 60.5%를 차지, 절대적인 오너 영향력 아래 놓인 회사다.
종근당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본지>에 “아직 확실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며 “법원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는 말만 반복했다.
[ⓒ 예결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