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도 포기한 SKT·KT, ‘5G 나홀로 소송'⸱⸱⸱탐욕 비난받아 마땅
허위과장광고·통신장애 등 문제 해소하고 통신비 대폭 낮춰야

[예결뉴스=김지수 기자] 지난달 31일 대법원이 과거 시민단체가 제기한 '5G원가 공개 소송'에서 원고 승소 확정판결을 내림으로서 5년만에 시민단체의 손을 들어줬다.
참여연대는 지난 2019년 SKT와 KT 등 이동통신사들을 대상으로 제기한 5G원가 공개소송에서 승소했다고 지난 1일 밝혔다.
대법원은 참여연대가 당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대상으로 제기한 5G 서비스 이용약관 인가신청자료(이하 5G 원가 관련 자료) 정보공개거부처분취소 소송(2024두47005)에서 총 54개의 세부정보 중 40개의 정보를 공개하라는 1·2심 판결을 확정하고 심리불속행 기각 결정을 내렸다.
이로써 SKT가 2019년 5G 인가신청 당시 요금산정 근거로 과기부에 제출한 향후 3개년 간 5G 예상 가입자 수 및 예측근거, 트래픽 예상 증가량, 각 요금제별 가입예상률 및 근거수치, 평균 ARPU 추정표, 5G 네트워크 구축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투자금액 등 5G 원가를 산정하는 데 근거가 되는 중요한 자료들이 상당부분 공개된다.
참여연대는 이번에 공개될 자료를 분석해 5G 폭리와 부실한 인가심의절차의 부당성을 다투는 한편, 과기부가 확보한 추가자료의 공개를 요구하며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를 위한 활동을 계속 이어갈 방침이다.
정부는 대법원 판결 취지에 따라 즉각 5G 원가 관련 자료를 공개해야 한다.
지난 2018년 2G·3G 원가자료 공개를 결정한 바 있는 대법원은 이번에도 "요금적정성 심사의 검증을 위해 관련 자료를 공개해야 할 공익상 필요와 이동통신서비스의 공공성은 큰 반면, 이동통신대기업들의 영업 비밀을 침해할 우려는 크지 않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게다가 이번 5G 원가 관련 자료의 경우 2019년 당시 SKT가 향후 3년간 5G 예상가입자수, 예상 영업이익, 투자계획 등을 예측한 수치에 불과하고 이미 그 3년이 경과한 지금은 그런 예측이 현실화된 상황이기 때문에 기업의 비밀을 침해하는 영업비밀이라고 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소송에 보조참가인으로 참여한 SKT와 KT는 정작 소송당사자인 과기부가 대법원 상고를 포기했음에도 끝까지 나홀로 소송을 강행했다.
5G 서비스 폭리로 4조원대의 막대한 이익을 거두고 있으면서도 최대한 소송을 통해 시간을 끌어보려는 이통3사의 탐욕을 규탄하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이다.
대법원이 심리불속행 기각 결정을 통해 2심 판결 후 약 5개월만에 빠른 결정을 내린 것은 너무나도 다행스런 일이다.
정부와 이통3사는 2018년과 이번에 내려진 대법원 판결의 취지에 따라 5G 원가 관련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2019년 약 한 달만의 졸속심의 끝에 한밤중 기습개통한 5G 서비스의 요금이 과연 제대로 된 심의를 통해 결정된 것인지, 전체적으로 LTE 대비 2~3만원 비싸게 책정된 5G 요금이 예상 가입자 수는 축소하고 투자비는 부풀려 설계된 것은 아닌지, 모든 국민 앞에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
5G 서비스는 높은 요금에도 불구하고 LTE 대비 20배 빠르다는 허위과장 광고, 기지국 미비로 인한 통신장애, 28GHz 구간 주파수 반납, 투자축소 등 상용화 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여러 논란에 휩싸여 있다.
이번에야말로 턱없는 요금제와 부실한 서비스 품질, 허위과장 광고로 시민을 기만한 데 이어 나홀로 소송으로 시민들의 알권리를 침해해온 이통사들의 책임을 제대로 묻고, 부풀려진 LTE·5G 요금을 대폭 낮출 것을 촉구한다.
[ⓒ 예결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