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가계대출이 41조원이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작년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년 대비 41조1500억원 증가했다. 증가폭은 2.6%다.
금융권 가계대출은 코로나19가 한창인 2020년과 2021년 각각 112조3000억원, 107조5000억원씩 크게 늘었다. 지난해 증가폭은 2023년 10조1000억원 대비 4배 넘게 늘어난 규모다.
대출 항목별로 살펴보면 주택담보대출은 은행권 중심으로 57조1000억원 증가해 전년(45조1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기타 대출은 15조5000억원 줄었으나, 감소폭은 전년 35조원 대비 크게 줄었다.
이 중 은행권 가계대출은 46조2000억원 늘어 전년(37조1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이중 주담대가 52조1000억원 늘며 전년도(51조6000억원)와 비슷하게 증가했다.
은행 자체 주담대는 31조6000억원, 디딤돌·버팀목 대출이 39조4000억원 각각 늘었다. 특례보금자리론 종료 등에 따라 정책모기지는 18조9000억원 줄었다.
은행권 기타 대출은 5조9000억원 줄었다.
2금융권 가계대출은 여신전문금융회사(3조2000억원), 저축은행(1조5000억원), 보험(5000억원) 등에서 증가한 반면 상호금융은 감소(-9조9000억원)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가계대출이 금리인하 기대감에 따른 대출금리 하락, 수도권 중심의 주택 거래 증가 등의 영향에 따라 확대된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상환비율(DSR) 규제 시행과 금융권의 자율적인 관리노력 등으로 9월 이후 증가세가 둔화된 것으로 평가했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21년 98.7%, 2022년 97.3%, 2023년 93.6%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 3분기 기준 90.8%까지 낮아졌다.
[ⓒ 예결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